-
[Modafe 2010] <The 1st>, 현대인의 내밀한 실존적 층위의 서술적 양식REVIEW/Dance 2010. 6. 21. 20:24
무대 왼편에서 의자에 등을 돌리고 앉아 있는 남자로부터 시작되는 내레이션은 시작부터 끝까지 무대를 관통하며 그녀, 무용수 차진엽(안무)과 일체화되어 나타난다. 내레이션은 그녀 삶을 지정하는 것이고 그녀 내면을 외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내면을 고스란히 옮기는 소설과 같은 텍스트는 보는 사람에게 전이되는 목소리가 되고, 그녀의 춤은 그것의 리듬에 맞춰 주고받음의 에너지를 형성하기도 하고, 그러한 목소리를 입고 현재화된다. 스트레스와 결벽증 등으로 시작한 남자의 음성은 현실을 그리고 있고, 현실에 대한 상징적인 제스처들이 비교적 사실적으로 차진엽에 의해 그려지며 현대인의 실존적 외로움과 신경증적 증후들을 히스테리적 격발의 형태로 나타냄에 가깝다. 침실에 위치한 그녀의 행동들은 잠자리의 무의식적 그림자에 닿아 ..
-
[Modafe 2010] <DUETTO>, 신체를 매개하는 사운드에서 파생되는 무대REVIEW/Dance 2010. 6. 21. 19:48
에서 사운드는 너무 강하게 무대를 지배해서 상대적으로 춤이 약한데, 전체적으로 춤은 즉흥에서 파생하고 있다. 디제이가 무대 왼편에 위치하고, 무대 뒤편에 파란 조명의 공간과 형광 불빛에 김성용이 자리하면서 부딪치는 듯, 또한 그 신체에 조응하는 내지는 사운드의 층차에 적응하는 몸으로서 김성용은 자리하고, 마치 사운드와 신체는 인터랙티브한 작용을 벌이는 것 같다. 곧 그 푸른빛은 명멸하는 틈을 신체의 틈입을 통해 만드는 것 같고, 신체는 그것에 미치는 것이 어떤 사운드의 파편적 분출을 발생시킬 것임을 예고하는 듯 어느 정도 긴장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 그를 구원하듯 그 안에서 끌어낸 Isira Makuloluwe와 거침없는 호흡의 상호 작용을 벌이는데, 디제이의 사운드는 무대를 가로지르는 각종 스피커들의 ..
-
[Modafe 2010] <달팽이 벽>, 집단적 의식으로 나타낸 무의식의 자장REVIEW/Dance 2010. 6. 21. 19:08
(김성용 안무)에서 춤은 부드럽게 조형적인 형태를 빚는 듯한 찰나적 순간들을 강조하고 그것의 흐름을 최대한도로 유연하고 부드럽게 연결 짓는 데 그 특징이 있다. 누군가의 죽음이라는 알레고리는 바닥에 누운 채 의식이 침잠되어 있는 상태의 남자를 둘러싼 네 명의 무용수, 그리고 붉은 조명의 뒤편에서 손을 미세하게 움직이다 박수를 치며 등장한 남자의 짧은 출현 이후 장례를 치르고 화장해 남은 뼛가루를 땅에 뿌리는 것 같은 움직임과 결부되어 나타나며 이후 죽음과 삶의 경계를 무화한 모호한 상황 속에 무용수들의 상징적인 제의식을 치르는 것 같은 동작들이 펼쳐지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중앙에 위치한 남자는 사실 죽었다기보다 사각형의 모서리에 위치하여 동작들을 구성하되 조명의 아웃에 이은 인 이후 조금 더 넓어진..
-
[Modafe 2010] <Magician>, 환영을 도출하는 의식적 움직임REVIEW/Dance 2010. 6. 21. 17:13
Ervi Sirén 안무, Alpo Aaltokoski company(핀란드)의 에서 영상은 그대로 정지해 하나의 배경적 차원에서의 자연물로서 사물을 이루고, 몸을 지향적으로 내딛는 일련의 행위는 의식을 치르는 것과 같다. 조야한 음향 효과라고 통칭할 만한 사운드가 지정하는 배경적 맥락과 존재 차원에서의 내러티브적 요소는 이 작품을 막의 전환에 따른 영상의 동시적인 전이와 함께 움직임 전체를 가로지르며 따라 붙고 배경과 스토리를 조직하는 데 주요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막의 전환에 따른 움직임의 변화는 그 상황에 적응하는 차원과 그러한 맥락을 입고도 유유하게 무용수 자신의 움직임을 수놓는 데 따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팔을 유유하게 흔들며 나아가는 무용수의 움직임은 그것이 순간적인 잉여의 차원에서 상징화..
-
[Modafe 2010] PLASTICIZATION, 쓰레기와 나 사이의 무화된 환경REVIEW/Dance 2010. 6. 21. 16:49
남아공에서 온 Nelisiwe Xaba, 그녀의 행동은 거침이 없다. 안과 밖의 경계를 형성하지 않되 쓰레기로 둘러싼 세계 안에서의 자연스러운 의식을 형성하며 안과 밖의 경계를 구획하고, 그것의 경계에서 안과 밖을 오가는 체험적 감각을 관객에게 전달한다. 마치 쓰레기집이라 할 수 있는 헐렁하고 커다란 비닐 가방을 뒤집어쓰고, 무대에서 고개를 안으로 집어넣고, 다리만을 바깥으로 뻗었다 하며 구두 위에 양말을 신는 등의 닫힌 행동에 머물지만, 이는 관객 자체의 대리 행동으로 여겨지게 되거나 무용수의 의도된 행동으로 하나의 안팎을 나누는 선택적 행위로 느껴진다. 이러한 나르시시즘적 시간의 무한정한 부여는 그러한 쓰레기와 통합되어 새로이 분배되는 감각의 변이를 실천하는 한편 지루함의 무화된 감각을 낳는다. 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