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다페 2010] ROGUE(오스트레일리아), 단편적 감각의 안무적 구성REVIEW/Dance 2010. 6. 1. 13:22
강박적인 분절 단위의 리듬에 따른 움직임 하나의 단절된 같은 리듬의 반복이 분절되며 이어진다. 박자는 이 와중에 계속 같은 간격으로 세어지며 움직임을 만드는 하나의 호흡 단위를 계속해서 형성해 내야 한다. 인형 같은 움직임은 무엇보다 의식을 비우고 하나의 선분 생성이나 기계적 움직임, 특히 분절적으로 만들어지는 움직임에서 비롯됨이 크다. 매 리듬이 다시 시작될 때마다 전혀 다른 안무가 펼쳐지지만, 계속된 조여 오는 리듬과 반복의 호흡이 결코 긴장을 풀 수 없게 하는 가운데 의식 역시 조여 온다. 강박과도 같은 움직임의 계속됨은 폐쇄적이 닫힌 구조 안에 시간을 가둬 움직임이 끝날 때마다 안도의 숨을 내쉬게 되거나 그 조여 오는 긴장 속에서 벗어날 수 없이 끊임없이 생성되는 이미지들의 과잉에 오히려 동화됨에..
-
[Modafe 2010] Emanuel Gat의 섬세한 안무의 진동REVIEW/Dance 2010. 5. 28. 09:33
, 두 작품 살펴보기 (25일,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보폭을 크게 하며 하반신의 움직임을 크게 골반에서부터 뻗어나간 다리 몸을 자유롭게 놀리며 푸는 기본 동작들이 반복된다. 의 특징은 그러한 기본적인 동작들의 집합적 겹침으로부터 파생되는 과정이 시작되고, 그치는 방식의 과정이 계속되는 데 있다. 이것은 공공연한 안무로서의 가벼운 동작들임을 명시하며 그것 자체에서 즐거움을 찾고자 함이 이 무용을 바라보는 중요한 지점의 하나가 될 것이다. 무용수들이 만드는 집합 역시 하나의 구성되는 유동적 개체들의 집산으로 정의되는데, 하나의 장으로 모이거나 어떤 장을 들어가고 나오는 자유로운 개체들의 움직임은 관계성 그 자체에 주목하기보다 모이고 흩어지는 원칙하에 위치 짓기를 통한 하나의 구조를 구축하는 데 그 표현적 ..
-
2009 국립극장 국가브랜드 공연 ‘둥둥 낙랑 둥’REVIEW/Theater 2009. 12. 1. 22:53
기자간담회 현장 국립극단은 국가브랜드 공연이자 2010년 씨어터 올림픽스 참가작인 소설 『광장』의 작가 최인훈 원작의 을 오는 22일부터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무대에서 선보인다. 작품의 원작에서 최인훈은 『삼국사기-고구려 본기』의 호동왕자와 낙랑공주의 비극적 사랑을 다룬 ‘자명고’ 설화를 소재로 애국과 사랑 사이에서 갈등했던 두 인물의 비극적 결말 이후 호동의 의붓어머니와 낙랑 공주가 쌍둥이라는 한층 더 극적인 설정을 부여하고 있다. 국립극장의 예술감독으로 첫 번째 작품을 선보이는 최치림 예술감독은 희곡으로 읽었을 때 느꼈던 재미를 작품으로 직접 구현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둥둥 낙락 둥」은 설화의 줄거리를 단순히 옮겨 재현적 성취를 달성하거나 이야기를 구성하는 데 역점을 두기보다는 설화가..
-
[2009 서울세계무용축제] 「이상한 사람들-페데리코 펠리니를 위하여」, ‘네버엔딩 스토리’의 소극적 풍경REVIEW/Dance 2009. 10. 23. 14:52
‘아르테미스 무용단’의 「이상한 사람들-페데리코 펠리니를 위하여」(19일 8시, 예술의전당 토월극장)는 처음부터 부산한 흐름 속에 빠른 전개의 양상을 보였다. 음악의 순간적인 전환과 함께 과장된 연기 양식과 코미디를 보는 것 같은 독특한 연기 방식이 눈에 띄었다. 배우들은 인간 군상의 다양하고 평범한 모습들로 회화화하며 광대로서 분했고, 또 이야기 속에 놓인 인형처럼 움직였다. 또한 빠르게 변화하는 음악에 맞춰 전환 자체를 무화시키듯 동작들을 매끄럽고 신속하게 연결시켰다. 특별한 연기 양식은 동작을 바꾸기 전에 입을 크게 벌려 표정에서 그것의 전이가 읽혔고, 커다란 변화의 지점에 선행하며 동작들을 과장되지 않게 했다. 조명 역시 대비적으로 빠른 전환을 이뤘다. 춤과 함께 슬로우 모션의 동작들은 신체 각 ..
-
[2009 서울세계무용축제] 한국·일본 솔로 & 듀엣 Ⅱ, ‘관계의 역학적 미학’ | 축제REVIEW/Dance 2009. 10. 23. 14:48
‘모노크롬 서커스’의 「고요」는 잔잔한 호수에 이는 물결로 남녀의 관계성을 비유했다. 작품의 구성은 조용한 클래식 음악에 여자가 바닥에서 떨어지지 않기, 즉 남자의 발을 밟거나 위에서 내려오지 않기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뤄졌다. 여기서 여자가 남자의 위에서 미세한 호흡의 조절 작용과 함께 형성하는 미세한 움직임과 떨림을 춤으로 승화시키면서 발생하는 격렬한 힘의 작용은 어떤 것도 의미하지 않지만, 그 표현 자체의 견고함과 유기적인 구조의 증명에 있다. ‘모노크롬 서커스’의 「따오기에게 바치는 비가」는 위로 활짝 몸을 젖히며 시선이 강렬하게 위를 향할 때 남자는 최대한도로 그녀의 몸을 추켜세웠고, 다시 움츠릴 때 둘은 하나로 응축되는 전환점을 갖는 식으로 응축과 확장이 대비적으로 이어졌다. 서정적인 끝맺음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