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odafe 2010] <Poem> 고통을 부르는 방식으로서 기표의 분출적 표현REVIEW/Dance 2010. 6. 3. 10:10
‘Julia Cima&이재영’의 국제 공동 작업 마이크가 무대 왼편에 있고, 이를 가지고 두 남녀 무용수는 언어를 파열시키고 유희적으로 작동시켜 이것을 포함하여 하나의 단위로 분할해서 계속 무대에서 반복적으로 그것을 수행케 한다. 소리는 다분히 신체 수행적으로 작동되는 방식을 띠고 공간의 층위를 상정한다. ▲ Julia Cima 독특하게 내뱉거나 혀를 놀리거나 하는 방식 또는 언어가 되려다 마는 기표의 분할적인 형태로 그 의미를 지우고, 언어의 해체와 유희를 통한 파편적 분출로만 이뤄진다. 이는 두 국적이 다른 남녀가 단기간에 만나 자유롭고도 평등한 관계로 소통의 언어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적인 방법론을 도출하는 데서 구현된 것이라 생각된다. 소리의 작용은 강력해 소리를 통해 관객의 몸은 정박되게 ..
-
[Modafe 2010] <Tinizong> 진공 상태에서의 전파가 이는 움직임의 호출REVIEW/Dance 2010. 6. 3. 10:02
‘Nicole Seiler&POLAR&국지인&박재영’의 국제 공동작업 ▲ Nicole Seiler(안무가) 하얀색 옷을 입은 두 남녀가 무대를 찬찬히 걸어 나간다. 이는 거의 미동도 않는 신체에 의식을 집중시키는 그러한 움직임의 촉발을 기약 없이 유예시키는, 그 끊임없는 진동의 미약함이 강렬하게 의식을 끌어당기는 것에 가깝다. 찬찬히 무대를 딛는 형국이기 때문에 빛이 남기는 잔상이 신체의 떨림과 전환 국면에 부각되고, 전체적으로 몸에 사운드 미디어와 조명이 입혀지며 신체를 매개하는 것에 가깝다. 마치 진공 상태의 땅에 발을 딛듯 이들은 인류 최초의 움직임을 곧 문명과 사회를 무화시킨 상태에서 지구에서 벗어난 우주를 만나 중심에서의 이탈과 새로운 중심을 마주하는 신세계의 경험처럼 독특한 맥락으로 세계를 구..
-
[모다페 2010] ROGUE(오스트레일리아), 단편적 감각의 안무적 구성REVIEW/Dance 2010. 6. 1. 13:22
강박적인 분절 단위의 리듬에 따른 움직임 하나의 단절된 같은 리듬의 반복이 분절되며 이어진다. 박자는 이 와중에 계속 같은 간격으로 세어지며 움직임을 만드는 하나의 호흡 단위를 계속해서 형성해 내야 한다. 인형 같은 움직임은 무엇보다 의식을 비우고 하나의 선분 생성이나 기계적 움직임, 특히 분절적으로 만들어지는 움직임에서 비롯됨이 크다. 매 리듬이 다시 시작될 때마다 전혀 다른 안무가 펼쳐지지만, 계속된 조여 오는 리듬과 반복의 호흡이 결코 긴장을 풀 수 없게 하는 가운데 의식 역시 조여 온다. 강박과도 같은 움직임의 계속됨은 폐쇄적이 닫힌 구조 안에 시간을 가둬 움직임이 끝날 때마다 안도의 숨을 내쉬게 되거나 그 조여 오는 긴장 속에서 벗어날 수 없이 끊임없이 생성되는 이미지들의 과잉에 오히려 동화됨에..
-
[Modafe 2010] Emanuel Gat의 섬세한 안무의 진동REVIEW/Dance 2010. 5. 28. 09:33
, 두 작품 살펴보기 (25일,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보폭을 크게 하며 하반신의 움직임을 크게 골반에서부터 뻗어나간 다리 몸을 자유롭게 놀리며 푸는 기본 동작들이 반복된다. 의 특징은 그러한 기본적인 동작들의 집합적 겹침으로부터 파생되는 과정이 시작되고, 그치는 방식의 과정이 계속되는 데 있다. 이것은 공공연한 안무로서의 가벼운 동작들임을 명시하며 그것 자체에서 즐거움을 찾고자 함이 이 무용을 바라보는 중요한 지점의 하나가 될 것이다. 무용수들이 만드는 집합 역시 하나의 구성되는 유동적 개체들의 집산으로 정의되는데, 하나의 장으로 모이거나 어떤 장을 들어가고 나오는 자유로운 개체들의 움직임은 관계성 그 자체에 주목하기보다 모이고 흩어지는 원칙하에 위치 짓기를 통한 하나의 구조를 구축하는 데 그 표현적 ..
-
2009 국립극장 국가브랜드 공연 ‘둥둥 낙랑 둥’REVIEW/Theater 2009. 12. 1. 22:53
기자간담회 현장 국립극단은 국가브랜드 공연이자 2010년 씨어터 올림픽스 참가작인 소설 『광장』의 작가 최인훈 원작의 을 오는 22일부터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무대에서 선보인다. 작품의 원작에서 최인훈은 『삼국사기-고구려 본기』의 호동왕자와 낙랑공주의 비극적 사랑을 다룬 ‘자명고’ 설화를 소재로 애국과 사랑 사이에서 갈등했던 두 인물의 비극적 결말 이후 호동의 의붓어머니와 낙랑 공주가 쌍둥이라는 한층 더 극적인 설정을 부여하고 있다. 국립극장의 예술감독으로 첫 번째 작품을 선보이는 최치림 예술감독은 희곡으로 읽었을 때 느꼈던 재미를 작품으로 직접 구현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둥둥 낙락 둥」은 설화의 줄거리를 단순히 옮겨 재현적 성취를 달성하거나 이야기를 구성하는 데 역점을 두기보다는 설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