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odafe 2010] Spark Place 1 <소년의 거짓말> 이야기적 장치를 통한 현실의 육화REVIEW/Dance 2010. 6. 22. 02:10
이주형 안무, 물질적 층위에서 빚어지는 관계의 혼전 양상 ▲ 이주형 연극적 상황을 묘사하며 현실 안에서 개성 강한 캐릭터들의 관계 양상을 치열한 움직임으로 엮어 간다. 이러한 광경은 다소 희극적이고 또 풍자적이고 우스꽝스럽다. 손님으로 테이블에 앉은 레스토랑으로 상정되는 공간에서 한 남자가 빈 맥주 캔들을 쟁반에 받치고 온 웨이터의 서비스를 받고 있는 장면들은 반복되며 일상을 지루한 리듬으로 시간을 늘리고, 그 안에서 선택의 측면을 어느 정도 담보하게 하거나 거리 두기식으로 상황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게끔 하는 장치 역할을 한다. 현실 층위의 오브제로서 단단하게 맥주 캔 등을 사용하는 이 작품은 물질적 층위에 대한 집착, 그리고 사실 그 캔이 비어 있는 것이란 점에서 허상이나 물질 그 자체에 대한 현대인의 ..
-
[Modafe 2010] Spark Place 1 <기발한 인연> 의자를 통한 신경증적 일상의 징후들REVIEW/Dance 2010. 6. 22. 01:50
하영미 안무, 현실에서 집착의 양상 낮게 깔린 사운드가 파장을 이루는 동일한 리듬의 반복적으로 계속되는 장을 만듦에 맞춰 무대에 놓인 의자에 앉아 있는 무용수들의 의식은 그에 주파수가 맞춰지게 된다. 이는 현실 환경의 미디어가 미치는 영향력을 상정하는 한편 일상과 현실의 의식인 무화되어 단지 그 지배적 환경에 잠식되어 있는 모습을 부정적인 측면에서 보여 준다. 즉 새로운 사운드 자체에 대한 춤의 해석이 담겨있는 동시에 그것의 지배력을 상기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파장으로 인한 명확한 환경의 설정에서 의자는 그 속에 접속하는 것으로 하나의 세계를 구성하고 나타내지만, 조명 아웃과 이후 전환을 맞아 의자는 현실 그 자체의 대상으로 변해 있다. 이는 풍부한 의자의 알레고리에 대한 축소적 의미 지정, 갑작스런 오..
-
[Modafe 2010] Spark Place 1 <달팽이 뿔> 덧없는 현실의 층위REVIEW/Dance 2010. 6. 22. 01:29
▲ 곽영은, 곽영은 안무의 춤은 강한 인상과 함께 움직임의 펼침을 시간차 리듬의 구현을 통해 만들고, 어둠 속에서 그 펼침은 흐릿한 자취로 세계로 무화되며 그 펼침 뒤에 적절한 멈춤을 그만큼 둠으로써 시선을 붙들어 놓는다. 두 손을 느슨하게 쥐고 머리에 붙여 동물의 움직임을 따라 하는 것 같은 무용수들의 움직임은 인간 사회에 대한 직접적인 알레고리 차원을 이룬다. 한편으로 빛이 나는 정육면체 오브제를 뺏고 뺏기는 움직임들의 연결 과정은 상호관계의 역동적인 주고받음의 생성적 과정을 실현한다. 빛은 동경의 자리이자 가상적 세계의 환영이며 다시 집착과 욕망의 덧없는 행동들은 이에 대한 거리와 환영적 자취를 통해 연쇄 고리를 이어 나가게끔 만든다. 오브제가 놓인 공간의 자리가 유동적인 흐름 자체를 보이며 그러한..
-
[Modafe 2010] <The Blind> 심청의 포스트모던한 세계REVIEW/Dance 2010. 6. 22. 00:46
최상철 안무, 미끄러짐의 진흙탕 같은 환경에서... ▲ 심청전 상반신 누드로 무대 아래에서 등장한 남자가 헤엄을 치는 시늉을 하다 낚싯줄을 들고 끌어당기자 무대의 장막이 걷히고 수영팬티만 입은 남자가 그것에 묶여 이리저리 뒹구는 식의 움직임이 만들어진다. 이러한 희극적인 요소의 차용은 작품의 무게를 덜고 현대판 심청으로 건너가기 위한 가벼운 전초전의 성격을 지니는 한편 거침없이 나아가는 그리고 무대의 환경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이후 작품 전개의 양상을 치열하게 이끄는 견인차적 역할을 하게 된다. 심청은 바다 대신 이 물이 튀기는 비닐 안에서의 두 남자와의 사투로 그 바다를 실재화하여 나타내게 되며 물은 계속해서 튀기게 하여 효과를 거두고 미끄러운 표면을 이용하여 미끄러져 나가는 움직임의 확장된 영역을 만..
-
[Modafe 2010] <Chronology>, 시간의 흔적을 더듬어 가는 안무REVIEW/Dance 2010. 6. 22. 00:03
안무가 양승희, 신체의 기억을 현시하는 방식 ▲ 연습 장면 신체를 포근히 감싸며 이는 어루만지듯 무용수들의 움직임은 찬찬히 신체로부터의 숨을 간직하며 조용히 움직임에 생각들을 입히고 기억을 깨우며 시간의 깊은 흔적들을 유영하듯 따라가게 된다. 이에 대한 반복된 움직임이 시간을 미세한 단위로 쪼개고, 다시 삶의 본원적인 형태로 돌아가는 작용이자 의식적인 과정적 접근의 수행이라면 이는 천천히 진행되지만, 시간의 질서를 새롭게 구성하는 과정이자 몸을 매개로 사유를 조금씩 일으키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삶을 내밀하게 속삭이는 움직임에 이어 어느덧 네 명의 구성을 이룬 무용수들의 움직임 역시 끊임없는 반복의 흐름을 그린다. 이는 곧 바닥의 제자리에서 출발해 다시 바닥으로 오는 삶의 원환적인 형태를 구성하되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