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 서울변방연극제, <미니어처 공간 극장>(안무: 허윤경): 관객을 제1의 전제로 배치하기REVIEW/Dance 2019. 8. 4. 20:46
“머리 바로 위로원 모양의 물체가보이는 곳에 머물러주세요.” “공간 곳곳을 자신만의 방식으로살펴보거나 자유롭게 움직이면서공연을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원하시는 때에 위 지시문의 내용을 수행해주세요.”(공연 중간 허윤경 안무가의 지시로 다른 관객과 한 번의 교환을 통해 남은 두 번째이자 최종의 지시문)▲ 허윤경 안무, 공연 모습, ⓒ한민주 [사진 제공=서울변방연극제] (이하 상동)은 이른바 관객 각자에게 주어진 지시문을 통한 비선형적 수행이 구성하는 복잡계다. 이러한 개인에게 묻은 그러니까 일종의 비밀스런 스코어는 관객 자신이 원할 때 개입할 수 있음으로 지시된다는 점에서(쪽지의 접힌 면을 기준으로 위에는 지시문이 있고, 아래에는 그것을 알아서 그러니까 ‘자의적으로’ 결정할 것을 지시하고 있다.), 관객 스..
-
최강프로젝트 안무, <여집합_강하게 사라지기>: 보기의 시선을 분할하다REVIEW/Dance 2019. 6. 28. 16:22
▲ 최강프로젝트(강진안, 최민선), ⓒBokco [사진 제공=국립현대무용단](이하 상동)는 한쪽의 무대와 다른 쪽 무대 한편의 영상 두 개가 교차되며 진행된다. 그리고 무대의 움직임을 찍는 카메라가 있는데, 카메라가 영상으로 즉각 매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 작업의 주요한 출발점이 된다. 즉 카메라는 현재의 무대 움직임을 단지 찍기 위해 존재하고, 이를 다음 막에서 영상으로 송출하고 다시 현재의 움직임을 찍는다. 카메라는 움직임에 부착/부가되는 또 다른 동시 움직임인데, 움직임에 따라 가지만 움직임을 그 즉시 반영해 내는 건 아니다. 오히려 카메라는 이후의 움직임을 선취하고 움직임은 이후 장면으로의 출현을 기다리며 찍히기 위해 존재하게 되는 식으로, 움직임은 굴절되기 시작한다. 그것은 영상에서는 편취되어(..
-
정철인 안무, <0g>: 속도를 체현하기, 그리고 이후의 것은.REVIEW/Dance 2019. 6. 28. 16:13
▲ ⓒAiden Hwang [사진 제공=국립현대무용단](이하 상동) 길게 줄을 돌리고 그보다 빠르게 달려 거기를 뛰어넘는 퍼포머들, 그리고 혼자 남아 그 줄을 돌리는 퍼포머. 전자가 바깥으로의 장력에서 시작된다면, 후자는 그 스스로가 칭칭 감기며 속도의 중심은 계속 변전된다. 두 장면에서 미치는/닿는 힘은 다시 음악의 출력으로 상승된다. 그러니까 는 현란한 몸 동작이 아닌 움직임의 속도, 그 속도가 어떤 힘의 작용 아래 구현되는지를 보여주고자 하는 작업이다. 그렇다면 순전히 물리학적인 몸의 방정식에 가깝다. 반면 힘껏 달리다가 어느덧 바닥에 누운 사람들을 홀깃 뒤로 보며 가는 남자의 시선은, 이 작업을 일종의 내러티브를 내포한 작업으로 볼 수 있는가라는 의구심을 일으키기에 충분하다. 반사신경의 반응, 공..
-
이은경 안무, <무용학시리즈 vol. 2.5: 트랜스포메이션>: 리듬 생산―비워지며 채워진 몸REVIEW/Dance 2019. 6. 28. 16:07
▲ ⓒ목진우 [사진 제공=국립현대무용단](이하 상동) 신재희, 이은경, 피터 암페, 이 셋은 몸을 튕기며 계속 큰 숨과 동시에 소리를 뱉어내며 움직인다. 이러한 개별 단위의 무한한 반복이 작품 전체를 이루며, 그 단위들의 집적이 하나의 시퀀스가 되는 것, 곧 다른 시퀀스로의 전환을 이루게 되는 것이 이 무한한 움직임의 소진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인식하는 것은, 조금 중요해 보인다. 사실 이 전환의 순간은 계속 반복된 엇비슷한 자극에 따라 온전히 개별적인 것들의 차이로 인식되기 힘들다―하지만 그것은 분명 온전히 개별적인 것들의 차이인 것이고, 이를 지켜내는 것이 이 작업을 ‘지겹도록 잘’ 보고 있는 것이겠다. 그것은 거의 하나가 끝없이 반복되는 형상이다. 동시에 끊임없이 미세하게 지각 변동을 일으키..
-
이재영 안무, <디너>: ‘일상의 시공간을 무대화하기’REVIEW/Dance 2019. 6. 28. 15:30
▲ ⓒ목진우 [사진 제공=국립현대무용단](이하 상동)의 실험은 일상 자체로부터 움직임을 만든다는 것에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춤의 전형적 움직임 자체를 탈피하려는 데 그 궁극적 목적이 있는 대신 이 일상이라는 조건으로부터 자연스런 움직임을 무대로 확장시키는 차원에서 보는 게 더 맞다. 3명의 무용수는 일렬로 넘어지는 도미노의 부속이 된다. 이재영 안무가는 예전 둘이 짝지어 그 둘이 농구공이 되는 식의 퍼포먼스식 무대(물론 공연 형태로 짜인 것이었다. (2011))를 한 적도 있는데, 그에 비해 유기적인 사물의 양태를 띠는 것은 아니다. 가령 일상을 전유한 무대에서 그 속의 사물들로 도미노를 만들어 그 사이에서의 빈틈을 구르기나 등등으로 이어 채우는 식이다. 이 안에서는 온갖 잉여적 행위들을 안무로 재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