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IDance 2019] 아트프로젝트보라, <<무악舞樂> 보고, 듣다>: 재현의 지지체로서의 행위REVIEW/Dance 2020. 3. 16. 16:49
▲ 아트프로젝트보라 <<무악> 보고, 듣다>ⓒCreamart [사진 제공=서울세계무용축제](이하 상동) 는 춤이라는 형태를 지지하지 않는 듯 보인다. 동시에 어떤 사운드 장치를 재전유하여 다른 사운드를 구성하는 것을 최종 목적으로 하는 듯 보인다. 여기에 전제된 명제는 가령 이와 같은 것이다. '모든 소음은 '들을 만한 어떤 것'(음악적 사운드)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모든 행위는 (춤이 아니라) 사운드의 일종이다. (움직임 역시 들을 수 있는 어떤 매질이다)' 결과적으로 사운드의 재구성으로서의 움직임은 행위 자체로 움직임을 확장하며 짜인 안무로부터 자유로움을 획득하는 동시에 그러한 움직임의 자율성을 주장하는 듯 보인다. 그리하여 이 움직임은 사운드를 구성하기 위한 도구적 움직임(으로 귀결되는 것)이..
-
[SIDance 2019] 로베르토 카스텔로, <우리는 밤에 방황하고 불로 소멸한다>: 강박에의 황홀REVIEW/Dance 2020. 3. 16. 16:48
▲ ALDES/로베르토 카스텔로 <우리는 밤에 방황하고 불로 소멸한다>ⓒPark Sang Yun[사진 제공=서울세계무용축제](이하 상동) 일정하게 아래로 흘러내리는 방향성으로 인지되는 패턴 무늬의 무대 전면의 프로젝션 아래의 움직임. 일종의 스크린으로서 극장 안에서 그 무늬와 교접하며 동기화되는 움직임은 스크린의 연장으로 기능하며 마치 흘러내리는 스크린 같다. 여기서 몸은 준자율적이며 스크린에 복무한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스크린은 이러한 생명력에 감화되어 움직임을 지시하며 신체적 움직임 자체가 된다. 여기에는 타악류의 일정한 사운드 리듬이 전제되는데, 이는 이 무한한 걸음으로 대변되는 움직임의 지속을 안으로 접히게 한다―만약 영상과 같이 사운드의 강박적 작동이 없었다면, 영상으로 인해 내부가 구성되지 ..
-
[SIDance 2019] 마리 슈이나르 무용단, <앙리 미쇼: 무브먼트>: 세계를 읽는 법REVIEW/Dance 2020. 3. 16. 16:47
하나의 게임의 법칙이 전제되고 이는 끊임없이 중첩된다. 양면으로 펼친 책의 도상을 띤 스크린에는 끊임없이 오른쪽 장에서 상형문자들이 뜨고 이를 퍼포머들은 표현하고, 다시 문자는 왼쪽 장에서 축소돼 쌓인다. '문자의 움직임 도해'로 볼 수 있는 공연은, 스코어 자체가 거의 동시적으로, 하지만 선제적으로 지시된다고 할 수 있다. 각각의 포즈 또는 움직임은 매우 파편적인 데다 구현과 동기화에 모든 게 맞춰 있으므로 공연은 매우 명확할 뿐더러 움직임에는 어떤 다른 의미가 부여되지 않는 듯 보인다. 개별의 2차원 시각적 기호들은 3차원의 움직임의 제약 조건이 되지 못하는데, 이는 무엇보다 3차원의 움직임이 움직임의 시각적 표상 (불)가능성을 시현하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이 공연이 보여주는 건 매체 간의 번역(이미..
-
존버 미술가의 미술가 게임REVIEW/Visual arts 2019. 9. 18. 19:28
오정은 *『Art in Culture』 8월 호에 한편의 픽션 에세이가 실렸다. 제목은 「존버의 일주일 -2019년 한국 젊은 미술가의 창작 분투기」. 말 그대로 존버세대 작가의 일상을 1인칭 시점의 픽션으로 쓴 글인데 작가로서의 입지를 찾기도, 안정적인 생계를 맛보기도 어려운 요즘 청년의 우울한 상황과 자조 섞인 한탄을 묘사했다. “세상엔 작업 잘 하는 똑똑한 사람들이 왜 이리도 많은 걸까?”라는 문장에서, 어쩐지 포화상태로 분출구 없이 노오력하는 이 세대의 비극이 묻어난다. 그러나 ‘세대’라고 하는, 전 인류에 적용 가능한 생물학적 연령 개념을 들어 이들을 보편의 상에 묶기에는, “그렇게 많은 사람이 내 작품만 보면서 한마디씩 해 주는 일이 없거든.”이라는 화자의 외로운 푸념에서 드러나는 애태움을 지..
-
Art Project BORA & Guests, <Silicone Valley>, <PARADISE>, <꼬리언어학> 리뷰REVIEW/Dance 2019. 8. 4. 21:51
샤하르 빈야미니, : ‘밀도를 지속하기’▲ 샤하르 빈야미니(Shahar Binyamini) 안무, [사진 제공=아트프로젝트보라] (이하 상동)샤하르 빈야미니(Shahar Binyamini)의 안무작, 에서 퍼포머들의 하나하나의 동작은 매우 강렬하게 인식된다. 음악의 강렬함과 고양된 움직임이 어떤 여지없이 펼쳐진다. 붉은색 조명의 레이브 파티에서 신체들은 음악과 스스로의 움직임에 전염, 도취된 것처럼 보인다. 관객의 몰입은 빵빵하게 스피커를 올린 음악이 갖는 공간 전체의 공명이 그 움직임으로 수렴하는 데서 비롯된다. 곧 몸이 체현하는 음악과 음악을 그 신체로 수렴시키는 시청각적 감상이 만나는 지점에서 관객은 붙들린다. 퍼포머들은 허리는 꽂꽂하게 유지한 채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의 동작이나 리듬체조의 동작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