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9 서울변방연극제, <사랑 및 우정에서의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에 관한 법률>(김원영 x 0set프로젝트): 미학의 언어와 예술의 언어REVIEW/Theater 2019. 8. 4. 21:07
▲ 김원영 x 0set프로젝트) 공연 모습, ⓒ한민주 [사진 제공=서울변방연극제] (이하 상동)제목에서 드러나듯, 퍼포머 김원영은 장애를 가진 스스로의 신체가 타인의 시선을 방어하기 어려운 불리한 상황에 놓일 때 보지 말 것을 법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법의 항목들은 개인적이고 미시적인 리스트를 이룬다. 그리하여 인격에 대한 보존의 욕망과 존중의 회피가 맞물리는 지점에서 직접적인 시선이 해체되는 합의가 형성된다. 하지만 관객은 중대한 기로에 놓인다. 이는 김원영이 한 개인이면서 퍼포머-주체이기 때문인데, 실은 이미 그러한 리스트를 작성하면서 이를 예시로 보여줘야 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이러한 장면은 기억의 증상으로 남을 수밖에 없다. 결국 똑같은 것이 반복되는 순간에 이를 피해야 한다. 이런 알면서..
-
극장을 구성하는 두 개의 안무: <미니어처 공간 극장>과 <나는 그 사람이 느끼는 것을 생각한다>REVIEW/Dance 2019. 8. 4. 21:00
▲ 허윤경 안무, 공연 모습, ⓒ한민주 [사진 제공=서울변방연극제] 의 안무가 지시문을 수행하는 관객들의 즉흥적인 행위가 교차하고 축적되는 비선형적 과정으로 구성되는 가운데, 퍼포머로 위치한 안무가는 유일한 스포트라이트의 주체 대신에 현장의 반응을 즉각적으로 재생성하는 과정의 일부가 되는 매개자가 되었다면, 의 안무는 안무가가 세 명의 퍼포머, 그리고 관객과 함께 원형의 관객석에 위치하고 세 명의 퍼포머는 미세한 응시를 통해 서로의 움직임을 확인하며 기본적인 단위의 움직임들을 조금씩 확장하는 가운데 무대를 구성한다. 곧 관객석이 무대이고, 그 중앙은 비어두고 시작함으로써 관객은 (옆의 퍼포머로부터의) 직접적인 경험과 (퍼포머 옆에 앉은 다른 관객의) 매개된 경험을 동시적으로 하게 된다.이 관객을 퍼포머로..
-
2019 서울변방연극제, <나는 그 사람이 느끼는 것을 생각한다>(안무가: 황수현): 통제된/되는 감각REVIEW/Dance 2019. 8. 4. 20:55
▲ 황수현 안무, 공연 모습, ⓒ한민주 [사진 제공=서울변방연극제] (이하 상동) 는 원으로 배치된 관객 사이사이에 피드백 루프로 미세하게 움직임을 확장하는 세 명의 퍼포머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각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제목은 사실 모든 것을 말하고자 한다. ‘나는 그 사람이 느끼는 것을 생각한다’에서 ‘나’는 관객을 그리고 ‘그 사람’이 퍼포머를 의미한다면, 퍼포머의 감각을 나는 그대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인식하는 것으로, 퍼포머와 관객은 일종의 거리와 지연을 반영한다. 이를 퍼포머와 퍼포머 사이로 바꾸어볼 수도 있겠지만, 세 퍼포머 사이에서는 지연에 따른 간극이 미세하게 반영되는 정도이다. 또는 그 간극은 하나의 거대한 흐름(루프)을 형성하는 단위에 속하게 된다.구체적으로 아래로 떨어뜨린 머리에 ..
-
2019 서울변방연극제, <미니어처 공간 극장>(안무: 허윤경): 관객을 제1의 전제로 배치하기REVIEW/Dance 2019. 8. 4. 20:46
“머리 바로 위로원 모양의 물체가보이는 곳에 머물러주세요.” “공간 곳곳을 자신만의 방식으로살펴보거나 자유롭게 움직이면서공연을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원하시는 때에 위 지시문의 내용을 수행해주세요.”(공연 중간 허윤경 안무가의 지시로 다른 관객과 한 번의 교환을 통해 남은 두 번째이자 최종의 지시문)▲ 허윤경 안무, 공연 모습, ⓒ한민주 [사진 제공=서울변방연극제] (이하 상동)은 이른바 관객 각자에게 주어진 지시문을 통한 비선형적 수행이 구성하는 복잡계다. 이러한 개인에게 묻은 그러니까 일종의 비밀스런 스코어는 관객 자신이 원할 때 개입할 수 있음으로 지시된다는 점에서(쪽지의 접힌 면을 기준으로 위에는 지시문이 있고, 아래에는 그것을 알아서 그러니까 ‘자의적으로’ 결정할 것을 지시하고 있다.), 관객 스..
-
최강프로젝트 안무, <여집합_강하게 사라지기>: 보기의 시선을 분할하다REVIEW/Dance 2019. 6. 28. 16:22
▲ 최강프로젝트(강진안, 최민선), ⓒBokco [사진 제공=국립현대무용단](이하 상동)는 한쪽의 무대와 다른 쪽 무대 한편의 영상 두 개가 교차되며 진행된다. 그리고 무대의 움직임을 찍는 카메라가 있는데, 카메라가 영상으로 즉각 매개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 작업의 주요한 출발점이 된다. 즉 카메라는 현재의 무대 움직임을 단지 찍기 위해 존재하고, 이를 다음 막에서 영상으로 송출하고 다시 현재의 움직임을 찍는다. 카메라는 움직임에 부착/부가되는 또 다른 동시 움직임인데, 움직임에 따라 가지만 움직임을 그 즉시 반영해 내는 건 아니다. 오히려 카메라는 이후의 움직임을 선취하고 움직임은 이후 장면으로의 출현을 기다리며 찍히기 위해 존재하게 되는 식으로, 움직임은 굴절되기 시작한다. 그것은 영상에서는 편취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