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니엘레 니나렐로(Daniele Ninarello)의 <쿠도쿠(KUDOKU)>: ‘움직임은 보는 것인가?’REVIEW/Dance 2019. 6. 16. 11:28
▲ 다니엘레 니나렐로 안무 ⓒ조태민(이하 상동) 무대의 불이 켜지지 않고, 한동안 완전한 어둠 속에서 음악의 향연이 펼쳐진다. 사실 어떤 움직임도 볼 수 없다. 하지만 그 움직임은 분명 음악이 주는 실재를 환영으로 치환한 결과를 가져온다. 움직임은 정위되지 않는 음악처럼 눈앞에서 어른거린다. 이와 같은 인트로에서 볼 수 있듯 는 붙잡을 수 없음의 차원에서 움직임을 제시/지시하는 작업이다(‘움직임은 하나의 단위가 아니라 파편이거나 그 파편들의 끝없는 흐름이다’). 조명이 밝아지고 어떤 형상이 나타났을 때 그것은 실제 사람의 몸이고 또한 움직임을 펼치지 않는 고정된 형태인데, 여기서 음악의 연주자 역시 일자라는 사실이 발견된다. 따라서 보이지 않음으로써 그러나 음악의 매개를 통해서만 가능한 그런 보기의 방식..
-
<유도2.0>: <유도>의 대극장 버전!?REVIEW/Dance 2019. 6. 16. 11:19
▲ 박순호 안무 ⓒ조태민(이하 상동) 박순호가 안무로 참여하고 새롭게 Rising Tide Dance Theatre로 팀을 구성하여 대극장으로 옮겨진 이번 작업은, 이전 중극장 정도의 규모에서 열렸던 박순호의 작업 (2014)와는 다른 구성과 형태를 지향한다. 애초 이 작업이 지향하던 바와 현재의 작업이 갖는 의미를 지난 작업과의 비교를 통해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은 대극장용의 커다란 음악에 힘입어 반복된 구문들을 반복하여 정형화된 군무의 형태를 띤다. 그것은 현장에서 감식되는 음악 바깥의 틀, 곧 동기화될 수 없는 어떤 타격이 주는 이차적 음들을 생략하고, 이미 결론에 다다른 어떤 형태들을 반복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그것이 어떤 몰입이라는 것을 가정하는 스펙터클의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타협이..
-
<Asylum>: 스펙터클에의 간극을 구성하기REVIEW/Dance 2019. 6. 16. 11:14
▲ 라미 비에르 안무 , 키부츠현대무용단(Kibbutz Contemporary Dance Company) ⓒEyal Hirsch 조명을 쨍한 햇빛인 양 ‘쬐는’ 가운데 군집된 확성기를 단 사람이 소리 치는 첫 장면은 분명히 어떤 세계의 환유다. 분명 그것은 증폭되는 사운드와 함께 단연 부각되는 한 명의 지배자의 논리를 통해 명확해진다. 이는 장소 잃은 난민의 형상을 주조하고 재현하는 대신 그 군중과의 거리를 형성하는 지배자만큼의 안전한 거리에서 이들을 포획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들은 계속해서 사실 입체적인 세계를 재구성한다. 이는 어떤 처절한 현실이나 비판적 거리 두기가 아닌 끊임없는 공간의 변전 자체, 그리고 그 속에 포화된 개인들의 행렬을 통해 동시적으로 드러난다. 확성기는 배경 음악으로, 다시..
-
크리스 해링 <Deep Dish>: 이미지-스크린-사운드의 비동기성REVIEW/Dance 2019. 6. 16. 11:06
▲ 크리스 해링 안무, ⓒ조태민(이하 상동) 극소를 잡는 카메라에 의해 사물들은 스크린에서 꽉 채워진 풍부한 세계를 구성한다. 실제로 미시적인 세계는 거대한 세계로 옮겨지는데, 이는 우주적 차원을 이룬다고도 볼 수 있다. 이는 묘사 차원의 알레고리가 아니라 이 공연이 이를 알레고리로 제시하려는 의도 차원에서 드러나는 부분이다. 곧 행성들이 이루는 검은 그리고 적막한(아마 우리의 상상의 차원에서) 세계는 확대된 스크린에 의해 거대한 움직임-속도를 이루며, 현실 차원과 다른 세계를 지시한다. 하지만 그것은 현실에서 유래, 아니 현실로부터 즉각적으로 추출되는 것이다. 그러니까 저것이 실재의 반영이라는 것과 매체에 의해 전이된 현실이라는 것이 양립하며 공연이 진행된다. 우리는 실재를 ‘거쳐’ 또 다른 실재의 상..
-
<스파크플레이스 #1> 정규연, 김성현, 정소희 안무 작업 리뷰REVIEW/Dance 2019. 6. 15. 16:24
정규연 안무, ▲ 정규연 안무 ⓒ조태민[사진 제공=모다페] 고깔들이 무대를 가득 채우고 있는데, 이는 등고선의 형태를 이룬다. 이러한 배경은 몸과 분리된 사물에서 나아가 사물들이 이룬 하나의 거대한 환경, 곧 자연의 상징물로 보이는데, 두 명의 무용수 사이에서는 의태 과정이 발생한다. 곧 한 명이 이를 쓰고 다른 한 명이 따라 쓴다. 이는 본다는 것, 그의 행위를 의식하고 내 몸에 입력하는 과정을 동반한다. 사실 이러한 공간에의 관계 맺음과 적응, (사물-몸의) 적용 과정은 공간의 반향에 대한 효과 차원에서 이야기될 수 있다. 이를 하나에 다 접어 한 번에 다 쓰고 가는 것으로 끝을 맺는데, 이는 어떤 사물들을 가지고 노는 의미 없음의 견지에서 상상에서 비롯된 유희로도 보인다. 그러니까 여기서 프로그램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