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xhibition of Exhibition of Exhibition》: 전시라는 이름을 작동시키기REVIEW/Visual arts 2018. 6. 20. 14:12
컬렉션으로서 작품, 고유명으로서 큐레이터▲《Exhibition of Exhibition of Exhibition》 전경 ⓒ김진호(이하 상동)아카이브(?)된 50명의 작가 중 49개의 작품은, 한정된 그러나 꽤 풍요로운 선택지 속에 큐레이터들의 선택으로 분절된다. 선택의 교집합은 필연적인 것이 아니다. 이 작품들의 ‘선택’들은 가령 큐레이터마다의 하루에 해당하는 개별적 전시들의 얼개를 띤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전시는 작품의 확장(적 수렴) 대신, 큐레이터 각각의 컬렉션 자체로 소급되며, 컬렉션 내 작품들은 의미로부터 표백된다(마치 90년대 히트 팝송 모음 테이프들처럼 그것들은 일종의 명확하지만 불투명한 비-아카이브다). 전시‘들’은 큐레이터(들의 서문)들을 통해 필터링되지만, 작품의 의미와 내용은 선..
-
황수현 안무, <우는 감각>: ‘화음적 공간과 이동하는 시선’REVIEW/Dance 2018. 5. 27. 00:59
▲ 황수현 안무, : 퍼포머: 강호정, 손나예, 황다솜 © 조현우(Hyunwoo Jo)[이하 상동] 미술관은 3개층의 구역으로 분리되며, 이는 동시에 조망 불가능하다. 2개쯤 되는 공간에서의 퍼포머들의 행위를 볼 수 있을 따름인데, 이는 3개 구역의 퍼포먼스가 약간의 시차만을 둔 동시적인 상동의 것이라는 데서 이동과 정착을 모두 가능하게 한다. 관(람)객이 보는 것은 공간 안의 행위이다. 하지만 2개 층을 점유한 바깥으로부터의 시선은 관객을 그 안에 포함시킨다. 이 행위는 거의 정적과도 같고, 따라서 그 공간 안의 스피커로부터 나오는 소리는 다시 공간을 포화/포함시키는 어떤 매질로 작용하게 된다. 실제 스피커에는 하얀 천이 앞에 바로 놓여 있는데, 이로써 스피커는 직접적인 물질과의 접촉을 가시화하는 동시..
-
국립현대무용단 <스윙>: '라이브 바(bar)라는 형식!'REVIEW/Dance 2018. 5. 10. 13:32
▲ 안성수 안무, ⓒ황승택 [사진 제공=국립현대무용단] (이하 상동) 빠른 음악과 춤 모두 과잉적이다. 소곡 단위로 작품은 자르고 다시 시작된다. 따라서 몰입은 이러한 호흡의 단위를 적당한 선에서 마무리 짓는 것에서 적절해진다. 중요한 부분은, 여기는 ‘바(bar)’다! 플로어의 ‘가’는 일종의 움직임이 멈춘 대기 공간이 아닌, 공연의 연장선상에서 퍼포머의 움직임을 관람하고 호응하는 적극적인 주체가 자리한다. 이미 무대 뒤쪽 별도의 단상 위에 위치하며, 이곳이 ‘바’임을 선언하고 이미 보컬로 작동해온 스웨덴 남성 6인조 밴드 ‘젠틀맨 앤 갱스터즈 Gentlemen&Gangsters’의 멤버, 폴 월프리드슨(Pål Walfridsson)에 따라 무대는 주변부 영역을 재단하지 않는다. 모든 곳은 관객을 향해..
-
공영선 안무, <곰에서 왕으로>: '재현을 표면의 수행으로 전도시키기'REVIEW/Dance 2018. 5. 10. 13:03
▲ 공연선 안무, , 출연 김승록, 박유라, 공영선 ⓒ 옥상훈 (이하 상동) 공연의 제목은 나카자와 신이치의 대칭성 인류학의 철학이 담긴 카이에 소바주 시리즈의 한 권인 ‘곰에서 왕으로’를 차용했다. 책을 따르자면, 토템 신앙으로도 치환될 수 있는 인간-동물의 호혜적 쌍을 이루던 신화의 시대는, 왕이라는 존재의 탄생과 함께 거짓 신화의 중심축을 상정하며 멀어졌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자연과 인간의 거리, 인간과 인간 사이의 위계를 만들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동명의 책이 인간과 자연(동물)의 대칭성이 상존하던 신화의 시대로 도약한다면, 본 공연은 오히려 현대의 신화에 대한 비판적 독해를 수행하려는 롤랑 바르트가 말한 신화학을 드러내는 데 가깝다. 이는 공연의 재현-상에 대입되는 몰입의 기제를 공연의 ..
-
LDP 정기공연 리뷰_안무 임샛별, 김성현, 이정민REVIEW/Dance 2018. 4. 3. 12:24
▲ 임샛별 안무, , 출연: 신호영, 김보람, 정록이, 김수인, 이주희, 양지연, 한윤주, 이홍 ⓒBAKI[사진 제공=LDP](이하 상동) 오른쪽에 위치한 실루엣을 드러내는 얇은 천의 구조물은, 안과 밖의 경계를 만드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좁고 드러나지 않는 공간인 만큼 내밀하고 신비한 공간으로 상징화된다. 따라서 이 공간 안으로 들어감은 어떤 변화의 부분을 상정하게 된다(사실 이는 실제 미의 지배적 도상으로 자리하는 웨딩드레스의 거대한 밑으로, 실제의 웨딩드레스 안에 사람들이 위치하는 것에서 알 수 있다). 이들은 거대한 규칙 혹은 지배적인 힘 아래 움직이는 타율적 존재들로 표상되는데, 따라서 개별성을 갖기보다 어떤 제의적 장면들 또는 마법의 힘에 예속되었다는 느낌을 준다. 이들이 개별화된 주체로 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