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은진, 〈UNDOIT〉: 행위와 움직임 사이에서REVIEW/Dance 2021. 9. 13. 21:52
행위가 어떤 목적성을 띤다면, 움직임은 그 자체로 성립할 수 있다―움직임은 움직이다의 명사화인 셈이지만 동시에 특정한 시간과 형태로 의미화한다. 행위가 목적에 따라 도구들을 수단으로서 사용한다면, 움직임은 도구를 만지는 몸짓까지도 목적으로 내세울 수 있다. 행위와 움직임 사이의 간극을 임시적으로 구성하는, 이러한 구분 도식에는 물론 예술이라는 지침으로부터 심미화되는 움직임이라는 전제가 있다. 반면 이 예술의 자리, 움직임에 행위를 집어넣는다면, 남는 건 행위임을 지시하는 움직임이다. 또는 행위로서의 움직임이다. 따라서 이 과정은 행위에서 움직임으로의 수렴을 낳는다. 최은진 안무가의 〈UNDOIT〉은 일견 행위의 움직임으로의 전환이 아니라 행위의 변형과 해체를 통한 움직임의 확장으로 보인다. 행위와 움직임..
-
극단문, 〈외로운 개, 힘든 사람, 슬픈 고양이〉: 시대를 말하거나 역사를 구성하는 연극의 언어REVIEW/Theater 2021. 9. 13. 21:33
예술인에 대한 비하 장면을 포함한다고 하는 〈외로운 개, 힘든 사람, 슬픈 고양이〉는 예술을 하나의 범주로 두며, 또 다른 정치의 한 범주로서 동물권이라는 의제를 다루고자 한다. 정확히는 그러한 의제를 다루는 사람들의 재현을 통해 예술에서의 새로운 의제로서 동물권을 내세운다. 여기서 예술은 보이지 않는 현실, 곧 동물권이 법으로 자리하는 데 역할을 했을 사람들의 말과 사유를 구성하고 보여주며, 법이 만들어진 절차와 과정을 인간 다시 배우의 그것으로 전유한다―동시에 법을 인간의 언어로 전유한다. 이러한 역할에는 배우의 기술과 개성이 반영되며, 정진새 연출이 함께해온 극단 문의 연기 양식 역시 살펴볼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시화되지 않은 동물권의 법에 대한 역사의 시공이 그려진다. 이에 따르면, (진보적) ..
-
유지영, 〈기다란 선을 따라 무한히 이동하는〉: 유동적 언어에서 단단한 언어로REVIEW/Dance 2021. 9. 9. 00:39
〈기다란 선을 따라 무한히 이동하는〉은 언어와 움직임의 교환을 놀이처럼 시험하는 듯 보인다. 화이트보드와 의자, 양말 등 이들은 이미 놓여 있던 사물이나 착용하고 있던 의상을 수행의 근거들로 활용한다. 그리고 정방형에 가까운 공간 사이에 또 하나의 정방형에 가까운 벽이 놓여 통로를 구성하는 공간의 삼면을 이용해 이동의 반경을 그려나가는 퍼포먼스에서, 제목은 장소를 체현하고 있었다―장소는 제목을 구현하는 적합한 장소였다. 여기서 “단단히 고정하세요”는 움직임에 대한 정언명령으로서, 공연 전반을 지배하는 기호로서, 그 자체를 규칙으로서 그 둘이 지정한다는 점에서 재귀적으로 수렴한다―그 근거를 지정할 수는 없다. 첫 번째 장면인, 테이블을 중간으로 두고 서로 마주한 이종현과 유지영은 서로를 복제한다. 거울의 ..
-
극단 적, 〈햄릿의 비극〉: 독백, 무대, 수행의 조각들REVIEW/Theater 2021. 8. 30. 09:12
〈햄릿의 비극〉은 극 대부분 햄릿(박하늘 배우)과 거트루드(곽지숙 배우), 클로디우스(김은석 배우) 세 명의 인물 간의 발화로써 진행된다. 이는 첫째 마주하는 대신 시종일관 정면을 향한다. 특히 햄릿과 거트루드의 비중이 높다. 어느 정도의 대화가 있지만, 셋 모두 극 대부분에서 각자의 독백의 심리를 전개하는 것에 가깝다―이 셋의 말은 대부분 어느 정도의 독백을 가정하며, 따라서 특정한 수신자를 위한 발신으로 감각되지 않는다. 대화랄 것은 햄릿과 거트루드 둘 사이에서 가장 직접적으로 발생하며 이는 예외적으로 현실의 평면을 구성한다. 특히 햄릿과 다른 둘과의 발화의 간극은 하나의 평면에 이 셋이 속하지 않는다는 것에서 오는데, 햄릿이 관객석에 더 가깝게 위치한다는 것, 거트루드와 클로디우스는 더 뒤에서 그를..
-
하차연, 《집으로》: 여정을 위한 의식으로서의 퍼포먼스-전시REVIEW/Visual arts 2021. 8. 29. 00:42
대안공간 루프에서 열린, 하차연 작가의 개인전 《집으로》는 쓰레기를 갖고 하는 행위, 작업, 쓰레기에 대한 관찰 등이 주를 이룬다. 행위는 퍼포먼스를 기록한 영상으로 주로 드러나는데, 이는 시각적인 차원과 시간적인 차원에서 퍼포먼스 일부분이라 할 수 있다. 쓰레기를 갖고 물리적으로 제작한 작업인 〈매트, 보트, 카펫-나의 매트, 가족을 실을 배, 모두를 위한 양탄자〉(1988, 2021)―이 작업의 경우 1988년에 작가가 시도했던 페트병들을 활용해 새롭게 만든 것이다.―는 업사이클링 아트와는 조금 다른 부분이 눈에 띄는데, 이는 심미화되지 않은 각각의 쓰레기를 고스란히 드러낸 바에 따른다. 쓰레기는 쓰레기로서 지시되고, 그 쓰레기라는 기표에 관점이 실리는 방식이다. 〈Balade de Carol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