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진모, 〈끝이야 시작이야〉: 연극에 대한 극장의 언설REVIEW/Theater 2022. 6. 16. 18:59
〈끝이야 시작이야〉는 연극 이전에 자리하는 극장에 대한 거대한 언설이다. 또는 일상을 빌려와서 극장에 두는 작은 시도이다. 김은지, 송철호, 윤정로 배우 세 명은 매끄러운 서사의 당위를 갖지 않는, 일상의 파편들이 급격히 분절되는 상황 속에서 이전의 시간을 빌려온다. 그들은 서사의 중간에 위치하지 못하며 서사의 시작이자 끝인 어떤 모호함에 자리해야 한다. 분명하게 서사를 매개하는 대신 흐리멍덩한 서사에 적응해야 한다. 따라서 이들은 극장에 놓여 있으며, 그 놓여 있음에 대한 전사를 사유하는 것으로 연기를 대신해야 한다. 처음 송철호와 윤정로는 극장 바닥에 놓인 하얀 페인트를 부어 놓은 투명 플라스틱 통에 페인트를 묻혀 긴 롤러로 극장 벽을 칠한다. 아니 아무것도 안 묻은 롤러로 벽을 칠하는 행위를 정성스..
-
청소년극 《트랙터》: ‘희미한 연결들’REVIEW/Theater 2022. 6. 16. 18:40
청소년극 단만극 연작 《트랙터》는 세 명의 희곡 작가가 쓴 세 개의 작업이 하나의 작업으로 연결되어 있다. 처음부터 철저하게 의도된 것이라기보다는 한 명의 연출이자 동일한 배우들, 그리고 희곡 작가들의 교류가 접점에 대한 인지를 만들어 낸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구성의 차원에서 세 작업의 특징과 그에 따른 순서의 지정은 세 다른 공연의 연결에서도 자연스러운 흐름을 만들어 냈다고 할 것이다. 〈7906번 버스〉(한현주 작)가 멈춘 버스의 장소, 곧 일종의 비-장소에서 고등학생 세영(신윤지 배우)과 은호(최상현 배우), 운전기사 자은(박은경 배우)은 재난과 사고에 대한 개인의 트라우마를 공유하게 된다. 처음 자신이 사는 곳 공사 현장에서 타워크레인이 쓰러지며 자신이 탄 버스를 덮친 사고를 이야기하는 세영은,..
-
김상훈 작/연출, 〈비둘기처럼 걷기〉: 도시(인)의 무의식을 탐사하기REVIEW/Theater 2022. 6. 7. 00:55
〈비둘기처럼 걷기〉는 공간 특정적인 서사를 구성한다, 존재를 뒤섞는 언어적 실험과 공간을 맵으로 설정하고 그에 따라 공간에 부착하는 언어들로써. ‘비둘기처럼 걷기’는 알레고리가 아닌 환유적인 기호가 되며 판타지를 물질화한다. 이는 비둘기에게 눈을 쪼아 먹힌 사람이 자신의 눈을 먹은 비둘기가 걸어가는 장면과 그에 해당하는 내레이션이 나올 때 극적으로 고양된다. 비둘기는 휴대전화에 작은 휴대용 삼각대를 연결한 것으로, 이 ‘비둘기’는 자신의 조종자의 바깥을 함입하며 그의 시선을 대리하거나(이 ‘비둘기’를 보는 조종자의 시선은 바깥을 온전히 향하지 못한다.) 또는 카메라 방향을 그 조종자가 돌림으로써 조종자를 함입한다. 곧 비둘기와의 형태적 유사성을 전제하고 있으며 비둘기로 초점화하는 순간적인 발화 행위 이후..
-
장서영 개인전 《스키드》 : ‘변경되는 감각의 지도’REVIEW/Visual arts 2022. 6. 7. 00:44
장서영 작가가 아마도 예술공간에서 선보인 지난 개인전 《눈부신 미래》(2021. 아마도 예술공간, 서울.)가 여러 공간에서 작업들이 분절되어 있었다면, 이번 전시 《스키드》는 상대적으로 작은 폭에 비해 기다랗게 일자로 펼쳐진 복도 공간을 따라 일점투시의 빈 시공간으로 수렴한다. 이는 전시의 ‘속도’와 ‘흐름’과 같은 키워드와 맞물리며, 관람객의 동선과 작품 간의 밀접한 연결에 있어 순환의 체계를 ‘매끄럽게’ 구성한다. 일점투시의 끝에는 얼굴 혹은 빨대가 있다. 〈드링크미드링크〉(2022. 단채널 영상, 흑백, 2분 51초.)가 그것이지만, 너무 그것과의 거리가 멀어 관객의 시선은 빈 공간의 떠 있는 파편적 작업들의 양상으로 가라앉는다. 장서영 작가의 개인전 《스키드》(2022. 신도문화공간, 서울.)는 ..
-
전윤환 작/연출,〈기후비상사태: 리허설〉: 리허설의 과제REVIEW/Theater 2022. 6. 3. 01:18
〈기후비상사태: 리허설〉(이하 〈리허설〉)은 기후 위기에 얽힌 자본주의 이데올로기를 드러내는 데 초점을 맞춘다. 다른 한편 이는 전윤환이라는 해당 작품의 작가가 그러한 내용을 고민하며 글로 옮기는 과정에서의 여러 경험과 그에 동반되던 궁핍함을 함께 드러낸다는 점에서, 곧 이를 여러 배우로 분화시켜 상연함 자체를 연출한다는 점에서 〈리허설〉은 그의 지난 〈전윤환의 전윤환 - 자의식 과잉〉과 결을 같이 한다. 이 후자의 차원은 그가 기후 위기에 대한 예술가의 역할이나 그러한 내용 자체에 대한 표현 형식을 탐구하는 데 따르는 고민보다는 작가로서 그 주제와 나 사이의 거리를 계속해서 확인하면서 글을 데드라인 안에 퇴고해야 하는 조급함과 피로도, 체념 등의 일련의 작가로서 받는 스트레스를 토로하는 자의식으로 수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