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
《Turn Leap:극장을 측정하는 작가들》: 극장에 대한 다섯 작가의 주석REVIEW/Interdisciplinary Art 2017. 12. 29. 16:38
남동현, : 유령 관객의 산출 ▲ 남동현, ⓒSang Hoon Ok (이하 상동) 남동현의 작업에서 6개의 영상은 6개의 시점-장소에 자리하는데, 처음 5개의 장소는 입장 전 접속한 유투브의 사운드와 동기화된다. 문래예술공장 극장 2, 3층에 분포된 영상들의 소리 간섭을 없애기 위함인데, 유투브 주소를 현장에서 전달받기는 하지만, 사실상 사운드가 없는 현장의 전시 영상들을 완성시키는 이미지가 없는 영상은 따라서 장소 특정적으로 발현된다고 하겠다. 영상을 따라 관객은 극장을 통과해(‘극장 측정’) 자연스레 사운드와 영상이 합치된 극장의 스크린 앞에 위치하게 된다. 영상과 사운드는 엄밀히 온전한 조응을 이루지 못하는데, 이는 영상과 사운드(-영상)의 시간의 차이-아마도 이동의 시간을 고려한 것일까-도 있지만..
-
<‘미인도’ 위작 논란 이후 제2학예실에서 벌어진 일들>: ‘사실을 작동시키는 거짓의 힘’REVIEW/Theater 2017. 12. 23. 02:51
▲ (작 강훈구, 연출 김현회) 콘셉트 컷, (사진 좌측부터) 배우 신윤지, 송희정, 송철호, 김보나 [사진 제공=극단 위대한모험](이하 상동) 무대 벽에는 여러 대의 TV가 동일한 영상들의 복제를 가능케 하는 스크린으로 기능하는데, 무대 전면은 사무실로 설정되어 있고 그 경계에 턱이 있고, 길의 역할을 한다. 사무실의 경계에 있는 세 모서리의 턱들로부터 사무실의 세 책상은 평행하지만, 문 옆의 책상은 비스듬하게 배치됐고, 정상적인 각도로 보이는 세 개의 책상과 그 바깥의 세 모서리는 사실상 객석에서 비스듬하게 측정된다. 이로써 관객석으로부터 비정상적 시각을 산출한다. 이는 정상적이지 않은 것에 대한 신념 체계, 이데올로기적인 지배에 의한 지식의 우위를 역설하(려)는 무대 장치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바깥..
-
연희단거리패, <억척어멈과 그의 자식들>: ‘이념으로서 전쟁과 생의 의지’REVIEW/Theater 2017. 12. 23. 02:26
▲ (작: B.브레히트, 번역: 이원양, 번안ㆍ연출: 이윤택) 공연 장면 [사진 제공=연희단거리패](이하 상동) 전쟁은 공허한 당위를 그 안의 사람들에게 스스로 만들어내게 하는가. 에서 전쟁은 세계의 질서를 바로잡기 위한 세계의 일시적인 혼란의 상태로 믿어지고, 이후 평화의 세계가 찾아올 것이라는 유예된 평화에 대한 환상이 이를 이념적으로 뒷받침하는 역할을 한다. 억척어멈(김미숙)은 전쟁을 적극적으로 장사의 수완으로 사용하며 전쟁의 유일한 승리자가 되는 듯 일견 보인다. 이는 돈에 대한 지나친 집착에 근거하는데, 사실상 그는 자신의 자식 셋을 모두 전쟁 통에 잃게 되며, 마치 그는 유일하게 전쟁을 벗어난 유유자적한 삶을 누릴 수 있는 듯하나 마찬가지로 전쟁의 영향을 벗어나지 못하며 결과적으로 전쟁으로 인..
-
김모든 안무, <물속 골리앗>: 공간과 진동하는 움직임REVIEW/Dance 2017. 12. 23. 01:20
▲ (김모든 연출 및 안무, 김애란 원작) 리허설 장면, (사진 좌측부터) 김모든, 김서윤*(본 공연에서는 주하영 무용수가 출연했다), 박명훈 어둠 속 흔들리는 그네로부터 무대는 열린다. 앞에는 방음되는 사운드판이랄까, 거대한 무대 후면의 벽이 펼쳐진다. 이는 시야를 가로막은 사운드 스케이프로서의 공간을 지시한다. 곧 극장이라는 공간 안에 또 다른 공간이 주어지는 셈인데, 뒤쪽 위 스피커에서 나오는 음향은 이곳을 하나의 공간으로 구획하며 이 안의 존재자들에게 하나의 압력을 선사하는 듯 보인다. 퍼포머들의 움직임은 공간과 길항작용을 거치며 발현되는 듯 보인다. 퍼포머들은 어떤 움직임의 심미화보다는 이 안에서의 분포가 중요하다. 적응과 적응에 대한 표현이 중요하다. 공연은 전반적으로 일상과 다른 시공간 속 ..
-
<투오넬라의 백조>: 접합과 변용이 만드는 판타지REVIEW/Interdisciplinary Art 2017. 12. 23. 01:01
▲ (2015), 빌레 왈로 ⓒKyungbok Park [사진 제공=국립현대무용단](이하 상동) 다양한 장면 구성과 빠른 막 전환은 입체적이고 밀도 높은 시간을 제공해 실제의 상연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이 투여됐을 거라는 인상을 준다. 한마디로 놀랍다. 핀란드 출신의 세계적 작곡가 장 시벨리우스(Jean Sibelius) 탄생 150주년을 맞이해, 핀란드의 컨템퍼러리 서커스 단체인 WHS[비주얼 아티스트이자 마술사 칼레 니오(Kalle Nio), 저글러 빌레 왈로(Ville Walo), 무대 및 의상 디자이너 안느 얌사(Anne Jämsä)에 의해 만들어졌다], 핀란드 베르카테다스(Verkatehdas) 극장, 안성수 픽업그룹(안성수 안무), 예술의전당이 공동으로 제작한 이 작품은, 2015년에 시벨리우..
-
성기웅 연출, <랭귀지 아카이브>: 언어가 구획하는 사랑의 이름들REVIEW/Theater 2017. 12. 23. 00:25
▲ (성기웅 연출, 줄리아 조 작, 마정화 번역/드라마투르그) 공연 장면, (사진 좌측부터) 배우 이윤재, 안다정 [사진 제공=K아트플래닛](이하 상동) 사라지는 언어를 아카이브 하고자 하는 언어학자 조지(이윤재)와 그를 곧 떠나려는 마리(전수지)의 사랑, 인류의 사라지는 언어인 엘로웨이어를 쓰는 단 두 명, 노부부 레스텐(박상종)과 알타(백현주)의 사랑, 그리고 엠마(안다정)의 조지에 대한 짝사랑, 언어와 사랑이 교착되는 지점을 그리는 듯한 작품은, 처음과 끝에 서사극적 요소를 차용함으로써 관객을 접속시킨다. 막이 오르면, 조지는 혼잣말로 화자가 되어 대사를 전달하며 제4의 벽 바깥에 있는 관객을 가상의 관객으로 상정한다. 조지는 보이지 않는 지문의 내레이션과 대화를 서로 주고받듯 무대에 있으면서 내레..
-
하상현, 《플래시메모리-칼(Carl)》: 전시라는 명명이 붙잡아두는 죽음의 명멸REVIEW/Interdisciplinary Art 2017. 12. 18. 00:04
▲ 하상현 연출, 《플래시메모리-칼(Carl)》 ⓒ하상현(이하 상동) 전시는 말과 함께 시작된다(핸드아웃상의 퍼포먼스 와 는 그제야 실행된다). 그 전에 신촌극장은 입장과 함께 나눠준 두 장의 텍스트(핸드아웃, )와 구석구석 이름 없는 사물들(, , )과 벽에 투사된 영상 을 관객은 더듬더듬 살펴 나간다. 단지 전시를 구성하는 재료/매체들만이 적시/나열된 핸드아웃은, 설치의 (시)공간적 좌표까지 명시(=도면)하지는 않은 채 온전한 전시에 대한 이정표가 되지 못한다. 전시를 구동하는 건 ‘칼’이란 화자로, 프로젝트로 한쪽 벽면에 투사된 문장들로 나타나는 칼에 의해 설치-이미지는 지시되며 텍스트에 함입된다. 텍스트는 사물을 의미로 지칭한다. 전시의 관람객은 텍스트를 통해 사물을 이미지화하고, 의식의 흐름과 ..
-
<당신이 알지 못하나이다>: ‘의미는 삶을 유예하고, 때때로 삶은 의미를 초과한다’REVIEW/Theater 2017. 12. 5. 00:28
▲ (권여선 원작, 박해성 각색/연출), (사진 좌측부터) 배우 신지우, 우정원, 신사랑, 노기용, 황은후 [사진 제공=남산예술센터] 연극의 시작과 함께 튀어나오는 ‘삶의 의미는 없다’는 말은 신은 없다는 말을 의미한다(제목이 수렴하는 지점은 당신이 알지 못한다는 사실이 아니라, 알지 못하는 것이 하필 ‘당신’이라는 것이다. 이는 당신‘이’에서 주격 조사의 차이에 기인한다). 사실 이는 신의 존재를 의심하며 신의 부재를 차라리 믿겠다는 유신론자의 좌절로 읽힌다. 삶의 커다란 고통, 죽음의 멍에를 짊어진 인물들, 특히 언니 해언이 돌연 살해된 이후 그 부재를 희미한 기억들로 채우고자 하는 애도 불능의 시기를 겪으며 삶의 의미를 논하는 다언(신사랑 배우)의 물음에서 이는 의존할 데 없는, 긍정할 수 없는 삶..
-
블라스트 씨어리, 《당신이 시작하라》: ‘관객의 탄생’REVIEW/Visual arts 2017. 12. 5. 00:05
▲ , 2015, 싱글 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1시간 45분 ⓒPatrica Marcoccia and Oscar Tosso [사진 제공=백남준아트센터] (2015)는 연속되는 하나의 쇼트 안에 한 명씩 연결해 도시를 걷는 일곱 명의 사람을 다룬다. 동시에 이는 온라인과 극장에 실시간 스트리밍되었었다. “당신이 바꾸었으면 하지만 바꿀 수 없는 건 무엇인가요?”라는 질문이 일곱 명을 관통하고, 일곱 명을 향한 질문은 다른 답을 도출한다, 아니 질문은 다른 세계로의 접속을 요청하는 질문으로 환원된다. ▲ , 2009, 싱글 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5분 ⓒAnne Brassier [사진 제공=백남준아트센터] (2009)에서 전화를 받은 관객이 율리케와 아이몬 중 한 명을 선택하고 도시 곳곳을 걷고..
-
이해성 작/연출, <비명자2>: ‘사회적 의제의 직접적 반영’REVIEW/Theater 2017. 11. 28. 23:25
▲ (작/연출 이해성) [사진 제공=극단 고래] (이하 상동) ‘(소수의) 타인의 한정할 수 없는 고통은 결국 사회적 고통으로 전이된다’는 작업의 교훈은, 타인의 고통을 사회적 고통으로 체감해야 한다는 것을 전제한다. 측정할 수 없는 고통으로 정의되(지 않)는 그들의 고통은 결국 소통이 불가능한 비언어의 양적 크기로 측정되며(‘반경 4km까지 물리적 영향을 끼치는’) 동시에 이해 불가능한 이해로, 말할 수 없는 우리 자신으로 수렴된다. 곧 이 작업에서 ‘타자의 고통은 우리의 고통이다’라는 명제와 ‘타자의 고통은 절대적인 것이다’라는 명제는, 그런 ‘타자의 고통을 우리가 이해할 수는 없어도 공감할 수는 있다’는 명제를 더하며, 완전히 동일한 것으로 나아가게 된다. 우리는 비명을 끊임없이 지르는 끊임없이 죽..
-
<비평가>: ‘비평과 창작’에 대한 알레고리REVIEW/Theater 2017. 11. 28. 22:44
▲ 후안 마요르가(Juan Mayorga) 작/김재선 역, 이영석 연출, 포스터, (사진 왼쪽부터) 김승언, 이종무 배우 [사진 제공=K아트플래닛] 어느 날 한 극장에 오른 작품이 기립박수를 받는다. 그 희곡을 쓴 작가가 자신의 작업에 대해 꾸준히 비평을 해온 비평가의 집을 찾는다, 와인을 들고. 이런 설정은 이후 두 사람의 강력한 설전으로 숨 가쁘게 이어지며, 작가와 관계 맺는 비평가의 역할, 나아가 연극의 기능과 정의를 상기시키는 것으로 나아간다. 작업이 재미있는 부분은 각자의 날 선 입장이 팽팽하게 대립하는 가운데, 주로 ‘대비’되는 층위에서 비평과 창작에 대한 관점이 지금에 있어서도 유효한 부분이 있다는 것인데, 거기서 체현되는 건 인물이라기보다 수사의 설득력과 그 자체의 매력, 곧 말일 것이다...
-
정다슬/요하네스 칼, <당신이 그것에 대해 알고 싶었던 모든 것>: ‘말하기로서의 움직임’REVIEW/Dance 2017. 11. 20. 18:13
▲ 정다슬(왼쪽), 요하네스 칼, ⓒ조현우 남성의 포즈들은 에두아르 마네의 그림 (1863)와 (1863)의 여성 누드의 모습들을 포즈를 입체적으로 옮기는 가운데 상정한다. 남성이 여성을 표상하며 동시에 여성이 아닌 남성 관객을 보는 것은, 재현적 섹슈얼리티를 수행적이고 비판적인 언어로 전유하는 것이다. 이어 남자는 섹스/자위가 오로지 정액의 배출이라는 최종 결과에만 향해 있음에 대해 의문을 표하는데, 성적 쾌락은 따라서 일정한 절차와 일관된 결과라는 성질을 갖는다. ▲ 요하네스 칼, ⓒ조현우 두 퍼포머는 대부분 말과 움직임이라는 구분된 역할, 동시에 평등한 역할 놀음으로 무대를 채운다, 남성이든 여성이든 상관없이, 그러니까 기존의 남성과 여성에 대한 편견에 저항하며. 예외적으로는 자신의 작달만한 신체 ..
-
《장소의 전시》: ‘장소와의 간극을 수행하는 전시’REVIEW/Visual arts 2017. 11. 20. 18:06
작업들은 두 작가(조형섭, 이소의)의 작업을 제하고는, 미술관에서 풀려나 낯선 장소와 헐겁게 맞물려 있다. 커뮤니티 스페이스 리트머스마저도 전시장을 찾는 이를 전시장‘에서부터’ 나아가는 첫 번째 키를 제공하는 입구이자 전시장을 벗어나며 새롭게 전시, 《장소의 전시》(큐레이터: 안대웅,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전수현)가 시작되는 출구의 ‘유일한’ 장소이다. 그러나 이 전시장은 전시장의 ‘바깥’에 위치한 이들, 전시장의 문법 따위는 상관없는 현실에 소재를 둔 사람들에게는 결코 인접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마찬가지로 작업은 일상에서, 현실에서 잘 보이지 않는다. 그것을 작품으로 감별하러 온 이들은, ‘실재의 장소’에 있는 이들에게서 낯선 이로 구별된다. 대부분의 미술관이라는 장소가 실은 작품을 위해 여전히 비..
-
리경,《more Light: 향유고래 회로도》: ‘경계에 놓인 관객’REVIEW/Visual arts 2017. 11. 20. 16:50
▲ , 엘립소이드달 스포트라이트, 자개, 황동, 멀티채널사운드, 가변설치, 2017 [사진제공=송은아트스페이스] 고래 뱃속을 환유하는 3층에 걸친 전시는 어둠에 새기는 빛의 궤적이 표면을 생성하고, 어둠에 잠긴 관객의 몸에서 분기하며 감각적 체험을 전하는 데 집중한다. 3층과 4층에 앞서 2층의 전시, (2017)는 고래의 속을 체현하기보다, 펼쳐지지 않은 하나의 책으로 진리를 예기하고 육화하는 듯 보인다. 자개와 황동으로 만든 빛(엘립소이달 스포트라이트)이 내리쬐는 두 개의 오브제는 엇갈린 층들로 4, 5밀리미터씩 일정하게 배치된다. 클래식의 현은 격동하는 생명의 안을 체현하는 일종의 서막을 가리킨다. 휴지기를 갖는 빛이 드러나는 동시에 3층의 소리가 들리기 시작한다. ▲ , 3D 비디오, 사이키 라이..
-
<슈팅스타(Shooting Stars)>: ‘순환적이고 반복적인 끊임없는 움직임’REVIEW/Dance 2017. 11. 13. 21:16
움직임은 음악을 ‘온전히’ 상쇄할 수 있는가? ▲ 국립현대무용단 픽업스테이지 (2016년, 스위스에서 초연됐으며, 국립현대무용단과 협업하며 음악, 무용수, 의상 등이 모두 새롭게 바뀐 공연으로 무대에 올랐다) 연습 장면, 김서윤/매튜 리치/유다정/임소정/표상만/허준환 ⓒ BAKI [사진 제공=국립현대무용단] (이하 상동) 처음 어둠의 가림 막 너머 등장한 무용수(김서윤)의 한결같은 움직임(의 궤적)은 작품의 본원적 움직임을 응축하고 예고한다. 끊임없이 안으로 말려들며 다시 시작되는 지점을 드러내지 않는 순환적 움직임, 곧 분절화되지 않으며 멈추지 않고 어느새 다시 원점을 가리키고 있는 반복되는 움직임은, 한편으로 음악을 입고 음악을 지운다. 이는 이후 여섯 명까지 불어나는 그야말로 무대의 혼란 이전에, ..
-
임영주, 《오메가가 시작되고 있네(LOOK, HERE, BEGINS THE OMEGA)》: ‘파편적 세계들의 배치’REVIEW/Visual arts 2017. 11. 13. 20:40
▲ 임영주 작가 개인전, 《오메가가 시작되고 있네(LOOK, HERE, BEGINS THE OMEGA)》[사진 제공=임영주] (이하 상동) 일관된 형식으로 밀집되지 않았다는 것은 전시를 여러 차례 본 이후에 드는 확고한 인상이다. 마치 푸티지 영상의 컷들을 방사하되 사각으로 전시장을 빙 두른 (것 외에 배치의 방식에 있어 어떤 다른 원칙을 확인하기 어려운) 전시는, 회화에서 영상이 아닌, 영상에서 회화로 시점을 ‘거꾸로’ 옮긴 작가-작가의 기원적 매체는 회화로, 영상 작업을 최근에 주로 선보여 온 작가의 이번 작업에서 영상은 회화를 ‘재매개’했다고 할 수 있다-의 관점적 배치에 의한 것이다(첫 번째 가설: ‘그림은 일종의 하나하나의 스틸 컷이다!’). 사실상 배치보다 중요한 건 작업이 ‘밑’이라는 동일한..
-
이경성, <워킹 홀리데이>: ‘재현이라는 장치’REVIEW/Theater 2017. 11. 13. 19:28
인트로: 세 가지 방식들 배우들과 공연 스태프의 DMZ 일대(파주, 연천, 철원부터 고성까지)를 걷는 여정은 무대로 반영된다. DMZ를 상징적으로 표상하는 사물들, 철모와 소총, ‘삐라’ 등의 미니어처가 무대 중앙의 모래 바닥에 깔린 채 무대는 카메라에 의해 매개된다. 동시에 이들이 겪은 현장은 무대로부터 관객석을 둘러싼 나무 패널로 짜인 구조물 위의 걸음으로 보완된다. 배우들의 경험은 말하기와 걷기의 두 가지 방식으로 되살아난다. 카메라의 시간 ▲ ‘두산아트센터 창작자육성 프로그램’ (이경성 연출), (사진 좌측부터) 배우 장성익, 나경민, 김신록, 성수연 ⓒ정찬민 ‘내 속도대로 걸을 수 있다’는 성수연 배우의 말은, 걷기가 오롯한 물리적인 몸의 쓰임을 지시하기보다 자율적인 질서를 가진 몸의 생성을 의..
-
차진엽, <리버런 : 불완전한 몸의 경계>: '포스트 휴먼과 휴머니즘 사이'REVIEW/Dance 2017. 11. 2. 15:12
미래의 세계에 마주해야 하는 몸은?! ▲ 차진엽(Cha Jinyeob), ⓒ박상윤(이하 상동) 시작과 동시에 무대 전면에 나타난 움직이는 이미지는 빠르게 스쳐 간다. 거기에 ‘비장한’ 표정으로 무대 ‘중앙’을 차지한 차진엽은 그에 ‘결연히’ 맞선다. 이미지(시각예술가 빠키의 작업)의 내재적 리듬에 때로는 공명하나 근본적으로 작업이 움직임의 응전의 형식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은, 곧 이미지(의 움직임)와 움직임의 합치보다는, 어떻게 이미지 안에서 움직임이 살아남을 수 있는가, 혹은 움직임이 대등한 경기를 벌일 수 있는가로 귀결되기 때문이다.미디어와의 무용의 협업이 대부분 기술적 층위의 우월함, 놀라움으로 환원되고 마는 것의 공허함이 오래된 흔한 문제 제기라면, 반면 미디어의 몸 자체를 하나의 다른 새로운 몸..
-
야스민 위고네, <포즈 발표회>: ‘다른 몸을 보여주는 방식’REVIEW/Dance 2017. 11. 2. 15:06
야스민 위고네(Yasmine Hugonnet), ▲ 야스민 위고네 ⓒAnne-Laure Lechat [사진 제공=국제무용협회] (이하 상동) 제목이 가리키는바, 일종의 포즈들의 전환으로 무대는 채워진다. 머리를 들어 올리는 데까지, 또 옷을 벗는 데까지 꽤 오랜 시간이 걸리고, 이러한 지루함은 누드로 연장된다(‘몸은 투명하다!’). 그리고 그가 스텝을 안으로 조이고 빠르게 이동하면서, 정확히는 몇 배의 속도로 스텝을 잘게 밟으면서 흔들리는 몸 자체를 현시할 때 비로소 몸은 달라 보이고, 다른 몸을 선사한다. 그리고 머리카락을 일종의 외부에서 수여된 오브제쯤으로 사용할 때, 곧 호흡을 안으로 잔뜩 머금고 머리카락 한 움큼을 자신의 인중에 끼고 정면을 볼 때 신체는 또 달라져 있다. 이것은 ‘다른 신체’라는..
-
<100%나의구멍>: ‘무대는 열리는 것이다’, 그리고 ‘무대는 닫히는 중이다’REVIEW/Dance 2017. 11. 2. 14:44
김보라(Kim Bora), ▲ 김보라(Kim Bora), ⓒ박상윤 [사진 제공=전미숙 무용단] (이하 상동) 무대는 두 개로 분기된다. 이전의 무대는 일종의 가장된 쇼다, ‘이것은 무대가 아닙니다, 무대의 뒷이야기입니다.’라는 걸 무대로 내세운. “계획”된(미리 스크립트가 짜인) 것인지 아닌 것인지는 계속 지시되며 중계된다. 중앙의 김보라를 포함한 여섯 명의 안무가/퍼포머들은 각자의 이야기를 하고 개입하고 ‘계획’의 여부를 미리 알고 있음으로 누설한다. 첫 번째 의문은, ‘계획이 계획되어 있음을 말하는 것은 계획인가?’이다. 두 번째 ‘이건 계획에 없던 건데.’라는 말은 계획을 진짜 어긋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가이다. 그러나 두 가지 의문은, 계획임을 이야기하지 않고서는 이것이 계획대로 실행되는 것임을..
-
<아듀, 마이 러브>: 구체적이지 않은 개인의 서사REVIEW/Dance 2017. 11. 2. 14:38
전미숙(Jeon misook Dance Company), ▲ 전미숙(Jeon misook Dance Company), ⓒ박상윤 [사진 제공=전미숙 무용단] (이하 상동) 무대 폭을 완전히 가린 두꺼운 붉은 천을 뒤집어쓰고 전미숙이 앞으로 가는 첫 장면은, 과정을 생략한 절정이라 할 수 있다. 무게는 그를 옥죄고 온전히 끄는 것은 실제로 어려운 일이다. 곧 잔상을 남기며 흩어져 버리는 기계음(노이즈 사운드)은 끊임없이 반복된다. 이는 물리적으로는 저 먼 곳에서 시작되어 근접했다 사라진다. 형벌 같은 천은 사운드와 맞물려 각각 일종의 옷감이라는 구체적 지표로, 봉제공장의 재봉틀 소리로 치환되며 둘은 서로를 지시하고 보충한다(재봉틀로 천을 박음질한다). 그 천 바깥으로 나가지 않는다는 것은, 그 바깥이 현실을..
-
《포스트모던 리얼》전, ‘리얼, 즉자적 개념에서 인식적 물음으로’REVIEW/Visual arts 2017. 11. 2. 14:15
《포스트모던 리얼》전은 1부와 2부로 나뉘는데, 2부의 작업들이 주로 1990년대 이후 포스트모더니즘의 미술 다루는 리얼(리티)에 대한 질문을 근거로 한다면, 1부는 90년대 이전, 60년대 이후부터 주로 70, 80년대의 ‘포스트모던 리얼’의 전거가 되는 대표적인 작업들을 다룬다. 2부의 배경이 된 기술 매체의 발전 양상은 예술의 감각/작업하는 방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이에 대한 부분을 전시에서 살필 수 있다. 1부, 물리적 실재의 침입 ▲ 이종상, , 290x205cm, 종이에 수묵담채, 1963 [사진 제공=서울대미술관](이하 상동) 이종상 작가는 (1963)로써 소를 노동자들이 묶는 광경, 곧 소의 생명력을 포획하는 사람들의 모습에서 사용하는 ‘장비’를 제목으로 둠으로써 소가 아닌, 테크..
-
기 나데르 & 마리아 캄포스. <시간이 걸리는 시간>: ‘투명한 안무’REVIEW/Dance 2017. 10. 31. 01:10
기 나데르 | 마리아 캄포스(Guy Nader | Maria Campos) ▲ 기 나데르|마리아 캄포스, ⓒAlfred Mauve[사진 제공=국제무용협회](이하 상동) [무용단이 제공한 사진은 실제 작업에 대한 메커니즘을 사실적으로 드러내지는 않는다.] 넷으로 짜이는 움직임은, 하나에서 둘로 다시 셋으로 그리고 넷으로 확장된다. 이는 하나의 움직임에 다른 움직임이 영향을 끼치거나 받는 식으로 하나씩 하나에 둘에 셋에 덧붙는 식으로 짜인다. 이를 유기적인 결합이라고도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그러나 일련의 규칙적인 프로세스를 보여준다고 보는 게 조금 더 정확할 것이다. 이 프로세스는 시작과 동시에 반복의 구문을 형성하고, 무용수들은 자동 기계처럼 같은 동작을 지속한다. 시곗바늘이 움직이는 듯한 사운드가 중..
-
임지애, <너의 동방, 나의 유령>: 이미지-움직임‘에서부터’/‘으로’/‘으로부터’ 사운드를 지시하기REVIEW/Dance 2017. 10. 31. 00:42
임지애(Jeeae Lim), ▲ 임지애 [사진 제공=국제무용협회] 무대 오른편에서 몸을 구부린 채 한참동안 임지애 안무가가 드러내지 않는 건 그의 얼굴이다. 정작 얼굴이 드러났을 때는 그것이 얼굴이라는 느낌이 없다. 이 느린 호흡의 움직임들은 표현 자체로 작동하나 한편으로 공간에의 사운드로의 반향과 아카이브, 이후 그 실시간적 변용을 위한 실험으로서 도구적인 몸짓을 구가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는 천장 자체가 사운드를 담아낼 수 있는 그릇이 되기 때문인데, 결국 안무는 사운드를 생성하기 위한 느린 궤적을 만들기라 할 수 있겠다(여기서 이미지 혹은 움직임은 사운드와의 물리적 관계가 필연적이고 형태적인 관계는 자의적이다). 하지만 그러한 지점을 자각하지 않을 때 아니 움직임의 독립성을 끝까지 주장한다면, 움..
-
‘춤, 임시적 공동체의 불가능성의 발화’REVIEW/Dance 2017. 10. 31. 00:28
아시아 & 아프리카 & 중남미 댄스 익스체인지 2017 예술에서 소위 국적이 다른 작가/작업자들의 협업은 무엇을 가리키는가. 아니 그것은 어떤 식으로 의미화되는가, 가령 과정(자체의 절대성)을 이야기하는가, 아니면 (필연적인 실패의) 결과를 이야기하는가. 보통 하나의 안무를 모두가 소화하는 방식은 애초에 합치를 의도했다고 할 수 있는가, 아니면 그로부터 드러나는 ‘차이’가 합치라는 순진한 의도를 비꼬며 그로부터 미끄러지는 찬란한 실패를 보란 듯이 보여주는 것일까. 이러한 결과는 단순한 섞임이라는 측면에서 퓨전(의 새로움)으로서 불릴 수 있는가. 시댄스 2017에서 선보인 아시아 & 아프리카 & 중남미 댄스 익스체인지 2017[총 5개 나라의 무용인들이 참여했다. 리카르도 부스타만테 마르티네스(Ricard..
-
‘매개되(지 않)는 커뮤니티 댄스’REVIEW/Dance 2017. 10. 31. 00:09
마오 무용단(Company Mariantònia Oliver) , 보결댄스라이프 ▲ 마오 무용단, ⓒTristan Perez-Martin [사진 제공=국제무용협회](이하 상동) 커뮤니티 댄스는 어떻게 성립하는가. 가령 어떤 동작을 그대로 전달하고 모방한다는 것, 또는 그들의 동작으로부터 춤을 생성하는 것, 커뮤니티 댄스에서의 안무의 두 가지 방식은 춤의 출발선상에서부터 본질적으로 분유된다고 할 수 있는가. 마오 무용단에서 안무가 마리안토니아 올리베르(Mariantònia Oliver)의 춤은 그야말로 자연스러웠는데, 무대를 자유롭게 뛰노는 반면 커다란 보폭으로 흔들림 없이 공간을 온전하게 채우는 데 어떤 흠결 없이 춤을 췄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는 (결코 전문적인 무용수로서 훈련되지는 않은) 가..
-
박순호 안무, <경인>: 구축과 장력의 관계술REVIEW/Dance 2017. 10. 13. 05:40
▲ 박순호 안무, [사진 제공=국립현대무용단](이하 상동) (북청)사자와 겹쳐 있음을 남자는 발견하며 공연이 시작된다. 얼굴께에 꼬리를 확인하며 발버둥 치듯 빠져나온 남자는 발견의 상황에서부터 사자와 한 몸인 상태가 일단락된다. 엎드린 상황에서 상체와 하체를 순간적으로 들어 올리며 점프를 하는 장면에서부터 특이성은, 사자가 아닌 퍼포머에게서 드러난다. 그는 거의 발을 땅에 딛지 않는데, 땅을 구르듯 그리고 발이 아닌 온몸으로 점프하며 자신의 생명력을 구가한다. 이는 네 발을 땅에 닿고 있는 사자와 대조적이다. 첫 번째 사자와의 분리가 깨어남의 인지로부터 시작된다면, 두 번째 분리는 적극적인 행위로부터 시작된다. 손전등을 사자 속으로 비추며 내장 기관을 가시적으로 만들며 해체술을 시전하고, 위에서 내려온 ..
-
러셀 말리펀트 컴퍼니, <숨기다 | 드러내다>: '몸은 끝없는 내용일 뿐인가'REVIEW/Dance 2017. 10. 13. 03:14
몸의 매체적 탐문 ▲ 러셀 말리펀트 컴퍼니(Russell Maliphant Company), ⓒTony Nandi[사진 제공=국제무용협회] 네 개의 작업이 ‘펼쳐진다.’ 에서 그림자와 실재의 유비는 전복돼 적용된다. 하나의 막 안의 무용수와 막에 비친 더 커다란 그림자는 무용수를 후면에, 전면의 일부로 배어들게끔 한다. 조명은 무용수 양 옆의 두 개로 변화하고 무용수는 중앙에서 두 명의 무용수를 거느린다는 인상을 준다. 여기서 2차원 이미지가 3차원 실재를 상회하는지가 관건이 된다. 이미지는 곧 그것이 단지 하나의 막에 비친 것일 뿐이라는 인식보다는, 막에 걸쳐지고 그 바깥에 실재가 다 보이지 않는 것이라는 인상을 준다. 그리고 그 셋은 하나의 다른 동시적 둘의 복사로 이뤄진 것이 아닌, 개별 존재-이미..
-
구정아 <아정구> 리뷰: 이미지의 실존주의REVIEW/Visual arts 2017. 9. 15. 12:46
▲ (2010), 아트선재센터 3층[사진 제공=아트선재센터] 3층의 (2010)는 선이 형성하는 것 배경과 그 안의 대상을 핵심적으로 드러내는 것, 아니 포착하는 것에 가깝다, 실재에 대한 묘사나 재현의 일부라기보다 흩날리거나 부유하는 선의 일부로써 유격이 되는 공간을 드러낸다. 곧 창조된 공간, 현실에 가깝다. 가끔씩 중간의 선 일부를 덧칠해 강조함으로써 시선의 포인트를 흐트러지게 하는 효과를 주는 가운데 뜯어지는 선을 마감하는 듯한 일종의 천에 쓰인 바느질로도 비유가 가능해 보인다. 그리고 이 드로잉들은 야광의 분홍색 조명으로 마감된 공간에 현기증을 느끼고 그것의 자장 아래 보이게 되는데, 이는 그림 속 공간을 채우거나 그림을 완성하는 효과를 낸다. 곧 조명은 그림들을 채색하고 선이 그 채색된 공간을..
-
전미숙 안무 <Bow>, 인사의 문화상징 자본에 대한 보고서REVIEW/Dance 2017. 9. 15. 12:27
▲BOW-컨셉컷©gunu Kim(이하 상동) 첫 장면은 옆으로 무릎을 꿇은 가면 쓴 이가 의식(儀式)을 치루는 것에서 시작한다. 이후 상대방이 절을 받는 위치에 서긴 하지만, 그 이전까지 꽤 길게 진행되는 의식에서 관객의 시선을 비껴난 보이지 않는 존재는 절대자에 가깝고, 고정된 자세로부터 흘러나오는 의식의 과정은 그에 대한 저장된 몸의 기억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일관된 표정으로 고정시키는 가운데, 의식은 얼굴로 수렴된다. 얼굴은 하나의 미스터리한 기호이자 끊임없이 각인된다. 는 인사라는 인간의 문화 상징적 자본을 실체화한다. 첫 번째로 의식의 측면에서 절을 인간의 체화된 의식(意識)으로, 두 번째로 인사의 여러 자세들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한 움직임들로, 세 번째로 인사를 할 때의 정적인..